신재생에너지(10)
-
[제7회]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전략5_2)
이번 글에서는 지난번 글에 이어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추진전략 중 다섯 번째 [인프라 혁신] 계통 보강 및 운영관리 체계 정비에 관한 세부내용에 대해 계속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안정적 계통 운영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운영관리 체계 구축 (1)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한 계통 복원력(Resilience) 강화 재생에너지 변동성 확대에 따라 계통 복원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재생에너지의 예측˙제어 능력을 강화하고, 유연성˙관성 자원 확보 * 계통 복원력 : 전력 계통 내에 돌발적인 고장 발생 시 안정상태를 회복하는 능력 * IEA : 변동성 재생에너지 비중 15% 이상(Phase 3~6)에서 출력 예측시스템, 유연성 자원 확대, 계통관성 유지의 중요성 강조 [자가 출력 조정] 신재생에너지 ..
2021.11.21 -
[제6회]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전략5_1)
이번 글에서는 지난번 글에 이어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추진전략 중 다섯 번째 [인프라혁신] 계통 보강 및 운영관리 체계 정비에 관한 세부내용과 이를 통해서 추진해 볼 수 있는 사업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송배전망 접속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계통 수용성 증대 (1) 유연한 송배전망 접속으로 접속 가능용량 확대 계통 혼잡 완화를 위해 기존 고정(Firm) 접속방식에서 선로별 접속용량 차등, 최대출력 제한, 선접속˙후제어 등 유연한(Non-Firm) 접속방식 도입 * Firm Access : 선로의 부하율에 대한 고려 없이 설비용량 기준으로 접속 허용 ↔ Non-Firm Access : 태양광, 부하 변동, 출력 제어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 접속 허용 [접속용량 차등화] 배전선로 ..
2021.11.21 -
결정질 태양광 셀, 모듈 종류
1. 결정질 태양전지 종류 구 분 PERC TOPcon HJT Tandem Image 태양전지 구 조 효 율 18~22% 22~23.5% 22~25% ~40% 특 징 - 높은 상용화 - 낮은 생산단가 - 효율증대 한계 - 저가형 - PERC 대비 높은 효율 - 낮은 온도 계소 - 높은 생산단가 - 높은 효율 - 낮은 온도계수 - 박형 태양전지에 적합 - 양면 발전에 적합 - 단순한 공정단계 - 60%이상 발전량 증대 - 저중량 셀 제작가능 - Flexible Cell 제작가능 - Application 다양화 (전기자동차 동력원, 건물 외장제, 비행택시 등) 2. 태양전지 종류별 비교 (양산형 모델 기준) 구 분 PERC(M2) TOPcon(M6) HJT(M10) TANDEM(M10) 셀 효율 (%) 21..
2021.11.07 -
[2회]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와 텐덤(Tandem) 태양전지
3. 문제점과 해결방안 전세계 과학계는 페로브스카이트가 8년만에 폴리실리콘 Cell이 100년동안 이룬 광전효율을 따라잡은 것에 대해 감탄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처음에는 매우 놀라웠지만, 한편으로는 충분히 가능한 결과라 생각된다. 태양광산업에 대한 투자가 늘었으며, PSC 실험 환경이 폴리실리콘 대비 대중적이고, 투자비가 적다는 점도 여러 대학 및 기업들의 연구를 가속화 시킨 이유일 것이다. 같은 이유 때문에 남아있는 문제점들도 빠르게 해결될 것으로 전망한다. 수명 : 수분에 약한 점이 지난 10년간 PSC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업계에서는 Solid-State PSC 개발 및 첨가물 변환으로 태양전지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다. 최근 발표되는 PSC Cell들은 대부분 1,000시간(~10,000시간)..
2021.11.06 -
[1회]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와 텐덤(Tandem) 태양전지
이번 연재에서는 3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Perovskite 정의 및 연구 진행 Perovskite란? 1893년 러시아 우랄 산맥에서 처음 발견된 산화칼슘 티타늄(Calcium Titanium Oxide) 광물이다. 미국/스위스/스웨덴/독일 등에서 채굴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PSC의 화학적 구성이 다르다. ABX3 (양이온 A, B와 음이온 X가 1:1:3으로 결합한 격자 구조) 형태의 광물을 페로브스카이트라 통칭하며, A/B/X에 어떤 원소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PSC는 ① 부도체/반도체/도체/초전도 성질을 보이며, ② 얇고 유연한 성질을 가진다. 특수한 물성 때문에 태양광, LED, 메모리, 센서 등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폴..
2021.11.06 -
[제5회]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설명(추진전략4_1)
이번 글에서는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추진전략 중 네 번째 [산업혁신] R&D 혁신역량 제고 및 생태계 활성화에 관한 세부내용과 이를 통해서 추진해 볼 수 있는 사업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신재생 원별 유망분야 R&D 지원 강화 (1) (태양광) 경쟁력의 핵심인 기술력·경제성 강화 및 신서비스 개발 탠덤전지 등 초고효율 태양전지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 R&D 집중 지원을 통한 차세대 시장 선점 및 산업생태계 자립도 제고 * 셀 효율 개선 목표 : ('19년) 23% → ('30년) 35% 기업·연구기관 등이 공동으로 기술개발 및 양산성을 검증하는 연구센터 구축을 통해 국내 태양광 R&D 역량 강화 * (개요) 100MW급 파일럿 라인, 성능평가 시스템 구축, (기간) '2..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