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6. 09:30ㆍ신재생에너지
이번 글에서는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추진전략 중 네 번째 [산업혁신]
R&D 혁신역량 제고 및 생태계 활성화에 관한 세부내용과 이를 통해서 추진해 볼 수 있는
사업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신재생 원별 유망분야 R&D 지원 강화
(1) (태양광) 경쟁력의 핵심인 기술력·경제성 강화 및 신서비스 개발
- 탠덤전지 등 초고효율 태양전지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 R&D 집중 지원을 통한 차세대 시장 선점 및 산업생태계 자립도 제고
* 셀 효율 개선 목표 : ('19년) 23% → ('30년) 35%
- 기업·연구기관 등이 공동으로 기술개발 및 양산성을 검증하는 연구센터 구축을 통해 국내 태양광 R&D 역량 강화
* (개요) 100MW급 파일럿 라인, 성능평가 시스템 구축, (기간) '20~'22, (예산) 253억 원
* ①양산능력 검증, ②차세대 전지 공동개발, ③성능·효율 측정 및 공인인증 등 지원
- 건물 일체형(BIPV), 수상·해상 태양광 등 입지 다변화를 위한 신시장 기술개발
(2) (풍력) 초대형 풍력 터빈 및 부품 패키지 국산화 기술 개발
- 초대형 블레이드(길이 100m, 8MW급), 카본 복합재 부품, 증속기, 발전기, 전력변환기 및 제어시스템 등 핵심부품 국산화
* 터빈 : ('19) 5.5 → ('30) 12~20MW / O&M 비용(연) : '30년까지 30% 절감
- 부유식 풍력 터빈 용량 확대 및 부유체 기술개발·실증 등 추진
* ('30년 목표) 부유식 풍력 용량 : ('19) 0.75MW → ('30) 5~8MW / 실해역 실증
(3) (수소) 전주기 핵심기술 개발·상용화 및 그린 수소 조기 대체
- 제주도 풍력, 새만금 태양광 등을 활용한 그린수소 실증사업 추진을 통해 '30년 100MW급 그린수소 양산체계 구축
- 고효율·고온 수전해 기술개발 및 중대형 추출 수소 기술 상용화를 통해 '30년 수소 가격 4,000원/kg달성 (현 8,000원·부가세 제외, 정책 가격)
- 수소 5대 분야(수전행·모빌리티·연료전지·충전소·액화 등) 소·부·장 R&D 집중 지원을 통해 핵심기술 확보 촉진
* 수소 5대 분야 R&D 지원규모(억 원) : ('22년) 200 → ('25년) 1,000 → ('30년) 2,000
(4) (재생열) R&D·제도개선을 통해 수열 시장 창출 및 재생열 범위 확대
- 수열 히트펌프·운영시스템 성능개선 R&D, KS 인증기준 개정, 공공기관 시범사업 등으로 수열 에너지 시장 창출 추진
* 한강 홍수통제소('21년),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22년) 등 시범사업 추진 예정
- 향후 수열 성과, 국제추세 등을 감안해 기타 열원(공기열, 하수열 등)의 재생에너지 인정기준 검토
* EU, 일본 등은 히트펌프를 활용한 열원(지중열, 수열, 공기열 등)을 재생에너지로 인정하고 있으나,
IEA 및 IRENA 등은 미인정
(5) (사업화) R&D 개발제품의 성공적 사업화 유도를 위한 지원 강화
- R&D 결과물이 수요기업의 구매로 이어지는 '수요연계형 R&D' 확대
- 수요기업 요구(제품 사양, 성능조건 등)를 반영할 수 있도록 기획·평가 등 R&D 전 과정에 수요기업이
적극 참여하고 최종 결과물 구매
* R&D 성과물에 대해 공기업이 자체적으로 1년여간 실제 사이트(그리드)에서 운영하여
성능 및 적용 가능성 등을 검증
2. 고효율·친환경 중심 시장 전환 및 혁신기업 육성
(1) 최저효율제, 탄소인증제 고도화로 고효율·친환경제품 시장 확대
- (최저효율제) 기술 수준 및 시장 동향을 반영한 로드맵 수립을 통해 최저 효율기준을 단계적으로 상향하고, 탑 러너(Top Runner) 도입 검토
* 중국은 탑 러너(최고 에너지 효율 제품군) 제도로 18% 이상 고효율 모듈 우대중('17년~)
- (탄소인증제) 태양광 모듈('20.7 시행)에서 풍력·연료전지 등으로 인증대상을 확대하고, RPS 경쟁입찰 시 가점 부여 등 추가 검토
* (예시) '친환경 풍력 블레이드 지원지침' 통한 저탄소·재사용 가능 블레이드 우대 등
(2) 신재생에너지 서비스 중심의 에너지 혁신기업 육성
- (태양광) O&M 신시장 창출을 위해 발전효율 지표 개발, 'O&M플랫폼' 개발, 'O&M 표준매뉴얼'제정 등 추진
*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에 지능형 인버터 기반 디지털 O&M 플랫폼 개발·실증('20~'23, 60억 원)
* 태양광 O&M 표준매뉴얼 : 태양광 설비 O&M 시 필수 고려사항, 유지·보수에 필요한 필수 작업,
데이터 관리방법 등 포함
- (풍력) 공공주도 대형사업의 단지 설계, 사업타당성 검토, 운영관리에 혁신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O&M 관련 신기술 개발 지원
* 드론 활용 상태 진단, AI/ICT 기반 풍력터빈 고장 예측진단(빅데이터 수집·분석 등), 실시간 해상풍력단지
통합정보 및 O&M 이력관리 시스템 개발 등 풍력분야 연구개발 확대
- (수소) R&D, 인력지원단, 혁신 조달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여 기술력과 혁신역량을 가진 수소 전문기업 육성('40년까지 1,000개)
* 수소 전문기업 육성 목표 : ('25년) 100개 → ('27년) 200개 → ('30년) 500개 → ('40년) 1,000개
* (수소 인력지원단) 현장 애로기술 해소를 신속 지원하며, 대학·출연(연) 인력 구성
* (혁신 조달) 혁신제품/시제품으로 지정될 경우, 조달청/수요기관 구매 시 수의계약 可
→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에너지 혁신기업 대폭 확대 (現 9개 → '34년 100개)
'신재생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회]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와 텐덤(Tandem) 태양전지 (0) | 2021.11.06 |
---|---|
[1회]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와 텐덤(Tandem) 태양전지 (0) | 2021.11.06 |
[제4회]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설명(추진전략3) (0) | 2021.10.31 |
[3회]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설명(추진전략2) (0) | 2021.10.31 |
[2회]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설명 (추진전략1) (0) | 2021.09.29 |